컴공생의 IT 번역기록장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컴공생의 IT 번역기록장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99)
    • 운영체제 (39)
      • Windows (35)
      • Windows PE (4)
    • IT기기 (759)
      • PC Hardware News (678)
      • PC Hardware (61)
      • PC Tip (16)
      • 기타 IT기기 (4)
    • Programs (50)
      • 유틸리티 (32)
      • 한컴오피스 한글 (2)
      • VMWare (9)
      • Adobe (2)
      • Premiere Pro (5)
    • Game (51)
      • Truck Simulator (40)
      • 스팀(Steam) (10)

검색 레이어

컴공생의 IT 번역기록장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운영체제/Windows PE

  • [Windows PE] 4. 윈도우 PE의 UI, BSExplorer 사용하기

    2017.09.11 by 컴 공 생

  • [Windows PE] 3. 윈도우 PE의 시작 프로그램 추가/제어하기

    2017.08.25 by 컴 공 생

  • [Windows PE] 2. 아주 간단한 윈도우 PE를 만들어 보자!

    2017.08.15 by 컴 공 생

  • [Windows PE] 1. 윈도우 PE란?

    2017.08.08 by 컴 공 생

[Windows PE] 4. 윈도우 PE의 UI, BSExplorer 사용하기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한 대로 대부분의 윈도우 PE들은 Winpeshl.ini 파일의 LaunchApp 섹션에 쉘 프로그램, 즉 윈도우의 시작 메뉴, 작업 표시줄 등 UI를 담당하는 Explorer.exe 같은 프로그램들을 지정하여 사용합니다. 저번에 만들어 보았던 Q-Dir PE처럼 단일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PE를 사용해도 되지만, 이러한 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이유는 조금이라도 더 PE를 실제의 윈도우 환경과 비슷하게 만들기 위함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쉘 프로그램들 중 가장 가볍고 무난한 PE용 쉘 프로그램인 BSExplorer를 PE에 추가하고, 설정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제가 하단에 첨부해 드리는 파일을 다운받아 압축 헤제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윈..

운영체제/Windows PE 2017. 9. 11. 00:30

[Windows PE] 3. 윈도우 PE의 시작 프로그램 추가/제어하기

저번 포스팅에서는 간단한 윈도우 PE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관련 글: [Windows PE] 2. 아주 간단한 윈도우 PE를 만들어 보자!)하지만 저번의 방법으로는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행이 가능했었습니다. 물론, 쉘 프로그램도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쉘 프로그램이라 하면 윈도우의 UI(시작 표시줄, 작업 표시줄 등)를 담당하는 Explorer.exe 같은 프로그램들을 지칭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포스팅 하겠습니다. (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다음 편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편에서 첨부해드린 파일이 있어야 합니다. 준비되었나요? 시작합니다. Windows PE의 작업 순서 Windows PE의 부팅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

운영체제/Windows PE 2017. 8. 25. 21:56

[Windows PE] 2. 아주 간단한 윈도우 PE를 만들어 보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VISTA/7/8/10에 포함되어 있는 윈도우 설치 PE인 boot.wim 파일을 수정하여 아주 간단한 윈도우 PE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Windows PE] 1. 윈도우 PE란?' 에서는 Setup.exe 파일을 다른 파일로 바꿔치기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보여드렸는데요, 실제로 PE를 만들때는 PE의 설정 파일이라고 할 수 있는 WINPESHL.ini 파일에 실행될 프로그램을 지정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boot.wim 파일을 마운트한 뒤, winpeshl.ini 파일을 수정하여 파일 탐색기인 Q-Dir 을 실행하는 아주 간단한 PE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업을 위해서는 Microsoft 에서 제공하는 ImageX 프로그램을 ..

운영체제/Windows PE 2017. 8. 15. 01:00

[Windows PE] 1. 윈도우 PE란?

컴퓨터를 쓰다 보면 누구나 한번씩은 갑자기 컴퓨터가 켜지지 않는 상황을 마주치게 됩니다. 물론 하드웨어적 문제라면 하드웨어를 교체해야 하지만, 소프트웨어적 문제라면 간단하게 컴퓨터를 다시 포맷하면 될 일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자료가 하드디스크나 SSD에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하드디스크나 SSD를 뽑아서 다른 컴퓨터에 연결 후 자료를 빼내면 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하기도 쉽지 않고, 또다른 컴퓨터가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럴 때는 바로 Windows PE를 이용해야 하는데요, 오늘을 이런 상황을 만났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윈도우인 Windows PE를 소개하겠습니다. PE란 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의 약자로, 윈도우 ..

운영체제/Windows PE 2017. 8. 8. 09:00

추가 정보

★ 인기글 ★

★ 최신글 ★

★ Country Statistics ★

Flag Counter

★ Adsense ★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컴공생의 IT 번역기록장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